티스토리 뷰

반응형

회전근개(돌림근띠, rotator cuff)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으로 이루어진 4가지의 근육군입니다. 이들은 어깨 안정성을 대표하는 근육들이며, 그만큼 과사용 되어 부상가능성이 높습니다. 근력운동 및 과사용 되는 동작을 할 시에, 밴드를 이용한 회전근개 스트레칭을 해주면 부상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합니다.

 

 

 

위치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 4가지 근육으로 구성됩니다.

 

극상근

극상근(가시위근, supraspinatus)의 기시점(이는 점, origin)은 극상 와(supraspinatus fossa)이며, 정지점(닿는 점, insertion)은 윗팔뼈의 대결절(greater tubercle)입니다.

 

극하근

극하근(가시아래근, infraspinatus)의 기시점(이는 점, origin)은 극하와(infraspinatus fossa)이며, 정지점(닿는 점, insertion)은 윗팔뼈의 대결절(greater tubercle)입니다.

 

소원근

소원근(작은 원근, teres minor)의 기시점(이는 점, origin)은 견갑골의 가쪽 모서리 중간뒷부분(posterior middle lateral border of scapula)이며, 정지점(닿는 점, insertion)은 윗팔뼈의 대결절(greater tubercle)입니다.

 

견갑하근

견갑하근(어깨밑 근, supscapularis)의 기시점(이는 점, origin)은 견갑하와(subscapular fossa)이며, 정지점(닿는 점, insertion)은 윗팔뼈의 소결절(lesser tubercle)입니다.

 

 

 

기능

기능은 극상근, 견갑하근, 극하근과 소원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극하근과 소원근은 같은 기능을 합니다.

 

극상근

극상근(가시위근, supraspinatus)은 어깨의 약한 벌림(weak abduction)과 윗팔뼈 머리 부분의 안정화(stabilization of humeral head)를 담당합니다.

 

견갑하근

견갑하근(어깨밑 근, supscapularis)은 윗팔뼈의 내회전(internal rotation), 모음(adduction)을 담당합니다.

 

극하근, 소원근

극하근(가시아래근, infraspinatus)과 소원근(작은 원근, teres minor)은 윗팔뼈의 외회전(external rotation), 폄(extension), 수평으로 벌리는(horizontal abduction) 기능을 합니다.

 

 

 

특징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4가지의 작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높은 자유도를 가진 어깨관절의 안정성을 담당합니다. 그만큼 운동 시 부상가능성이 높은 근육이기도 합니다. 특정 동작 시 찌릿한 통증이 올 시, 회전근개의 과사용이 원인일 확률이 높습니다. 근력운동 등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고무 밴드를 통한 스트레칭으로 회전근개 부상 가능성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회전근개 스트레칭

밴드를 걸 수 있는 위치에 밴드를 가슴높이 정도로 걸어줍니다. 이후 한 손으로 밴드의 탄성을 조절하고, 스트레칭하는 손의 팔꿈치를 붙여줍니다. 이후 팔꿈치를 붙인 상태로 외회전(external rotation) 동작을 진행해 줍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