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광배근은 등허리근막, 갈비뼈 아랫부분, 견갑골의 하각에서 시작하여 이두근 고랑에서 끝나는 근육입니다. 윗팔뼈를 내전, 내회전, 신전하는 기능을 하며 가슴등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승모근과 함께 등근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근육이며, 관련운동으론 랫풀다운, 시티드 로우가 있습니다.
위치
광배근(Latissimus dorsi)의 기시점(이는 점, origin)은 7번 흉추부터 엉덩뼈 능선(iliac crest)까지 뻗어있는 등허리근막(thoracolumbar apuneurosis), 3~4번 갈비뼈 아랫부분, 견갑골의 하각(inferior angle)입니다.
정지점(닿는 점, insertion)은 윗팔뼈의 이두근고랑(bicipital groove of humerus)입니다.
기능
광배근(Latissimus dorsi)은 윗팔뼈를 모으고(adduction), 내회전 하며(internal rotation), 피는(extension) 역할을 합니다.
관련신경
윗팔뼈와 관련된 신경은 가슴등신경(thoracodorsal nerve)입니다.
촉진 가능위치
광배근(Latissimus dorsi)은 겨드랑이 밑 몸통 부분의 뒤쪽에서 촉진할 수 있습니다.
특징
광배근( Latissimus dorsi)은 몸 뒤쪽에서 승모근과 함께 큰 영역을 차지하는 근육입니다. 특히 대원근과 함께 팔을 모아서 뒤로 당기는 힘을 담당하며, 큰 힘을 낼 수 있는 대근육입니다. 대근육이기에 해당 부위 운동 시 전체적인 상체의 근육량 증가에 큰 역할을 합니다.
개입되는 운동
1. 랫풀다운
광배근을 타깃 하는 대표적인 운동입니다. 하지만 초반엔 광배근보단 광배근 위에 있는 대원근에 자극이 올 확률이 높습니다. 기존에 수행하는 동작에서 광배근에 느낌을 더 주려면 상체는 세우고, 가슴을 연 상태에서 팔꿈치를 몸 뒤쪽이 아닌 몸과 수직으로 당겨 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시티드 로우
시티드 로우 역시 중, 하부 승모근과 광배근을 타깃 하기 좋은 운동입니다. 팔 쪽으로 힘을 많이 주면 이두근 주변에 힘이 과하게 가서 등근육에 집중하기 힘듭니다. 팔꿈치 밑 전완 부분은 긴장을 충분히 풀고, 팔꿈치를 등 옆으로 당겨준다는 느낌으로 하는 것이 승모근, 광배근 타깃에 좋습니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 biceps brachii) -운동과 해부학 (0) | 2023.02.05 |
---|---|
대원근(큰원근,Teres major)-운동과 해부학 (2) | 2023.02.01 |
회전근개(돌림근띠, rotator cuff) -운동과 해부학 (0) | 2023.01.24 |
소흉근(작은가슴근, pectoralis minor) -운동과 해부학 (0) | 2023.01.21 |
대, 소능형근(큰, 작은 마름근, Rhomboid major/minor) -운동과 해부학 (0) | 2023.01.19 |